30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가족 및 환경시민단체(환경보건시민센터·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경기환경운동연합·수원화학물질알권리네트워크) 등은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기업에 책임을 촉구했다. 
30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가족 및 환경시민단체(환경보건시민센터·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경기환경운동연합·수원화학물질알권리네트워크) 등은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기업에 책임을 촉구했다. 


[일요서울ㅣ김혜진 기자] “가습기살균제를 써 온 장모님과 집사람이 2014년 2월 중순 하늘나라로 갔습니다. 이제 더 이상 뭐라고 이야기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가습기살균제 기업들이 잘못했다는 말 한마디만 해줬으면 좋겠어요.”

30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가족 및 환경시민단체(환경보건시민센터·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경기환경운동연합·수원화학물질알권리네트워크) 등은 서울시청 앞에서 ‘끝나지 않은 가습기살균제 참사 진상규명! 서울시 가습기살균제 피해 조사 발표 및 책임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국내외 최악의 환경보건 참사”라며 “정부는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진상규명하고, 사법부는 정부와 가해 기업에 책임을 물으라”고 촉구했다. 

이날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올해 8월이면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세상에 알려진 지 10년이 되는 날이다. 5월 초에 시작한 전국 순회 가습기살균제 지역별 피해 실태 조사 발표를 15번째 해오고 있다”며 “가습기살균제를 만들어서 판 가해 기업들의 책임이 명백한데도 불구하고 정부의 무관심과 방치로 기업들은 무죄 판결을 받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30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가족 및 환경시민단체(환경보건시민센터·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경기환경운동연합·수원화학물질알권리네트워크) 등은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기업에 책임을 촉구했다. 
30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가족 및 환경시민단체(환경보건시민센터·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경기환경운동연합·수원화학물질알권리네트워크) 등은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기업에 책임을 촉구했다. 발언 중인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


이어 “서울 시민이 1000만 명이라고 하는데 그분들 중 가습기살균제를 쓴 사람은 수십만 명이고 그들 중에서도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며 건강 피해를 입은 분들이 무려 18만 명이나 된다. 이 중 채 1%도 안 되는 1637명만 신고 돼 있다”며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시민들한테 잊혀 져서는 안 된다. 정부는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고 피해자들이 기업으로부터 제대로 된 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조취를 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최경선 씨는 발언에서 “(가습기살균제를) 10여 년간 사용했다. 2011년 가족 4명이 모두 피해를 입었지만 2014년에 4명 모두 피해자로 인정받지 못 했다”며 “당시 아들은 이유식도 하기 전이었는데 간수치가 많이 올랐었다. 간수치가 오를만한 원인이 전혀 없었는데도 가습기살균제 보건센터에서는 ‘연관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아이가 지금은 걷지도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울분을 토했다. 

그러면서 최 씨는 “10년이면 강산이 바뀌는데 엄마로서 언제까지 지켜보기만 해야 하느냐”며 “가습기살균제로 인해 후유증과 합병증 등을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죽어가는 아이의 모습을 지켜봐야 되는 엄마의 마음을 이해해 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ㅇㅇ
30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가족 및 환경시민단체(환경보건시민센터·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경기환경운동연합·수원화학물질알권리네트워크) 등은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기업에 책임을 촉구했다. 발언 중인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최경선 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