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11 페이지 > 환경보건시민센터
센터소개
인사말
센터연혁
조직도
주요사업영역
창립선언문
찾아오는길
정보마당
성명서 및 보도자료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환경보건시민센터 보고서 모음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이전
오피니언
환경과건강 만화방/책방/영화방/도표
도표모음
이성진작가
계대욱작가
책방
영화방
현장소식 포토리포트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Hot Issue
Hot issue
가습기살균제피해
초미세먼지(PM2.5)대기오염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식품안전운동
Save Our Seas
기후변화와 시민건강
유해물질추방운동
환경오염과 발암물질
유해물질&상품 추방운동
석면추방
전자파공해
간접흡연공해
어린이환경보건
어린이환경보건
학교 환경보건문제
환경호르몬
공해피해자지원운동
시멘트산업공해피해
환경피해자지원운동
환경피해시민대회
기업감시운동
환경보건과 생태계
아시아환경보건운동
아시아환경보건운동
아시아석면추방네트워크
아시아산재/공해피해자대회
아시아공해지도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시민기자단
환경보건민원
포토갤러리
Hot issue 동영상
웹진
환경피해기록관
가습기살균제 참사기록관
목록
자료
가습기살균제 참사 주요일지
가습기살균제 피해목록
석면피해기록관
목록
자료
석면피해 주요일지
석면 피해목록
ENGLISH
Asian Citizen's Center for Environment and Health
센터소개
인사말
센터연혁
조직도
주요사업영역
창립선언문
찾아오는길
정보마당
성명서 및 보도자료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환경보건시민센터 보고서 모음
오피니언
환경과건강 만화방/책방/영화방/도표
현장소식 포토리포트
Hot Issue
Hot issue
가습기살균제피해
초미세먼지(PM2.5)대기오염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식품안전운동
Save Our Seas
기후변화와 시민건강
유해물질추방운동
환경오염과 발암물질
유해물질&상품 추방운동
석면추방
전자파공해
간접흡연공해
어린이환경보건
어린이환경보건
학교 환경보건문제
환경호르몬
공해피해자지원운동
시멘트산업공해피해
환경피해자지원운동
환경피해시민대회
기업감시운동
환경보건과 생태계
아시아환경보건운동
아시아환경보건운동
아시아석면추방네트워크
아시아산재/공해피해자대회
아시아공해지도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시민기자단
환경보건민원
포토갤러리
Hot issue 동영상
웹진
환경피해기록관
가습기살균제 참사기록관
가습기살균제 참사 주요일지
가습기살균제 피해목록
석면피해기록관
석면피해 주요일지
석면 피해목록
ENGLISH
Asian Citizen's Center for Environment and Health
메인
센터소개
정보마당
Hot Issue
유해물질추방운동
어린이환경보건
공해피해자지원운동
아시아환경보건운동
커뮤니티
환경피해기록관
ENGLISH
0
Hot issue
가습기살균제피해
초미세먼지(PM2.5)대기오염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식품안전운동
Save Our Seas
기후변화와 시민건강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홈 > Hot Issue >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검색조건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또는
그리고
검색
Hot
환영! 일본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
최예용
0
4401
2013.09.06
일본 8개현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 늦었지만 환영 - 지속적인 방사능오염 확산에 따른 수입금지 확대 검토해야 지난 5일 국무총리 주재 관계장관회의(외교부, 안행부, 해수부, 농림부, 식약처, 원안위) 및 6일 새누리당과 정부가 당정협의를 거쳐 일본산 수산물 방사성물질 검출 우려에 대한 특별조치를 발표했다. 조치내용을 보면 ▲후쿠시마 주변 8개현의 모든 수산…
Hot
한국 원자력안전위원회의 '강건너 불구경'
최예용
0
4278
2013.09.02
1986년 체르노빌 핵사고에 이어 2011년의 후쿠시마 핵사고에서도 방사능오염 및 피난영향권이 원전으로부터 반경 30km권역이라는 점을 한국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장하나의원dl 2013년 9월2일 발표한관련 보도자료를 소개한다.
Hot
후쿠시마원전 오염수처리 사면초가…아베정부 비상
최예용
0
5096
2013.08.09
2011년 대형 방사능 사고가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 (교도=연합뉴스DB) 도쿄전력 방사능오염수 바다유출 인정후 '정부개입' 선언 (도쿄=연합뉴스) 김용수 특파원 =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의 방사능 오염수 처리 문제가 진퇴양난의 막다른 골목에 봉착하면서 결국 아베 정부에도 비상이 걸렸다. 점점 불어나는 방사능 오염수 처리 등에 골머리를…
Hot
"일본발 방사능괴담의 실체. 동해유입 가능성은?"
최예용
0
5526
2013.08.06
"일본발 방사능괴담의 실체. 동해유입 가능성은?" - 박철원 YTN 도쿄특파원2013년 8월5일자 [YTN FM 94.5 '출발 새아침'] (오전 07:00~09:00)앵커;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유출되는 방사능에 대한 불안감이 연일 커지고 있습니다. 문제가 심각한 것은 현재 후쿠시마에서 비롯된 방사능에 대한 정확한 정보나 공식적인 대응이 부족한 상황에서…
Hot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세슘농도 '사고 직후 수준'
최예용
0
5109
2013.08.06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도쿄전력 "2011년 4월보다 고농도…해수유출지점 조사중"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에서 2011년 원전 사고 직후를 뛰어넘는 수준의 방사성 세슘이 검출됐다고 27일 교도통신 등이 보도했다.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전날 채취한 오염수 표본을 검사한 결과 1리터당 23억5천…
Hot
음식물 방사능기준치 한국370, 일본100 일본유아용50
최예용
0
5554
2013.08.06
경향신문 2013년 8월5일자 [기고]‘후쿠시마 원전 피해’ 비생산적 논쟁 장정욱 | 일본 마쓰야마대 교수 최근 국내에서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피해를 둘러싸고 정부와 시민단체, 보수 언론들이 사실 여부에 관한 논쟁을 거듭하고 있다. 이들은 서로 ‘과학’을 들먹이면서 자신들의 주장만이 진실이라고 외치는 탓에, 국민들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혼란을 겪고 있는 실…
Hot
[뉴욕타임즈]“한국, 원전 비리 대가 치를것”
관리자
0
5228
2013.08.06
뉴시스 2013년 8월4일자 기사 【뉴욕=뉴시스】노창현 특파원 = 뉴욕 타임스가 한국의 원전 비리를 대대적으로 보도했다.뉴욕 타임스는 3일 A섹션 6면에 ‘한국 원자력 폭로 스캔들’ 제하의 기사를 통해 최근 원전 건설을 둘러싼 공기업과 공급업체, 검증 업무를 다루는 시험기관 등의 구조적인 비리를 집중 조명했다. 타임스는 이에 앞서 온라인판 프런트면에 기사를…
Hot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유출 '비상사태'"
최예용
0
5207
2013.08.06
조선일보 2013년 8월5일자 기사입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 유출이 통제불능의 ‘비상사태(emergency)’를 초래하고 있다고 일본 원자력당국 관계자가 5일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일본원자력규제위원회(NRA) TF팀 긴조 신지 팀장은 5일 “방사능 유출수가 지하장벽을 넘어 지표면을 향해 올라오고 있으며 도쿄전력(TEP…
Hot
日원전 복구자 1만명 백혈병 산재기준 이상 피폭
최예용
0
4818
2013.08.06
2011년 대형 방사능 사고가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 (교도=연합뉴스DB)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2011년 대형 방사성 물질 유출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에서 9개월여간의 긴급 복구작업에 참여한 근로자 중 약 1만명이 백혈병 산재인정 기준인 연간 5밀리시버트(mSv) 이상 피폭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아사히 신문 인터넷…
Hot
[토론회안내]한국인 원자폭탄 피해의 실상과 방사능의 건강피해
관리자
0
5196
2013.08.02
원폭투하 68주기 기획 ‘핵 피해의 진실 알기 시즌1’ 한국인 원자폭탄 피해의 실상과 방사능의 건강피해 올해로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된 지 어느덧 68주기를 맞이합니다. 일제강점기말 식민지 지배와 강제동원으로 인하여 그곳에 가 있던 우리 동포 4만 여 명이 희생당하고, 살아남은 피폭자들도 제대로 된 치료와 구호를 받지 못한 채 원폭 방사…
Hot
[환경다큐감상평]0.23μSv-후쿠시마의 미래
이슬기
0
5292
2013.07.25
<0.23μSv> -후쿠시마의 미래- <0.23μSv-후쿠시마의 미래>는 OBS 경인방송에서 2013년 3월 10일에 방송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다. 여기서의 0.23μSv란 일본 정부가 제시한 시간당 안전치 기준이다. 단위 μSv는 방사능 단위로서 ‘마이크로시버트’ 라고 읽는다. 2011년 3월 11일에 일본 도호쿠 지방 앞바다의 대…
Hot
[렌즈로 본 세상]고리 원전 안전도 지켜낼까
최예용
0
4366
2013.07.24
남해 앞바다에 그린피스의 활동선 레인보우 워리어Ⅲ호가 떴습니다. 뒤로 구름 속에 보이는 둥근 지붕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우리나라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인 고리 1, 2호기입니다. 잦은 고장과 은폐, 짝퉁 부품 사용으로 국민을 불안에 떨게 한 문제의 그 원전이죠. 레인보우 워리어Ⅲ호가 반 원전 캠페인을 벌이자 경찰 경비함이 앞을 가로막고 있네요. 그린피스를 경비…
Hot
도쿄전력, 후쿠시마원전 오염수 바다유출 첫 인정
최예용
0
4210
2013.07.23
후쿠시마현청서 사죄하는 도쿄전력 간부 (후쿠시마 교도=연합뉴스) 2011년 대형 방사성 물질 유출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22일 사고 원전내 오염수가 바다로 유출된 사실을 인정했다.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안정화센터의 다카하시 소장이 후쿠시마 현청을 방문해 당국자들에게 사죄하고 있다. 2013.7.22 국제뉴스부 기사참조 j…
Hot
교과서 속 '원전 안전신회' 바꾸자
최예용
0
4808
2013.07.06
초중고교 학생들의 교과서에 원자력 즉 핵은 안전한 에너지로 일관되게 기록되어있고 학생들은 그렇게 배우고 시험보고 있습니다. 과연 그럴까? 서울환경연합 이주언 활동가가 이 문제를 파해체 월간 함께사는길 7월호에 게재했습니다.
Hot
"폐쇄적 원자력계 구멍 내겠다!"
최예용
0
4622
2013.07.06
원자력안전위원회에 그동안 반핵,탈핵운동을 앞장서 전개해온 김혜정 환경운동연합 위원장과 김익중 동국대교수가 야당추천위원으로 선임되었습니다. 월간 함께사는길 7월호가 이들을 인터뷰했습니다.
초기화
날짜순
조회순
정렬
검색
11
12
13
14
15
Search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또는
그리고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Hot Issue
Hot issue
가습기살균제피해
초미세먼지(PM2.5)대기오염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식품안전운동
Save Our Seas
기후변화와 시민건강
+
최신글
12.07
20231207 [삼성중공업의 허베이 스피리트호 태안기름유출참사] 16주기 날에
12.07
[6시간17분 영화상영 안내] '미나마타 만다라' 12월16일 제주 연경문화예술원
12.07
러닝타임 372분 영화포스터 [미나마타 만다라]
12.07
[CBS] 경기지역 가습기살균제 피해신고자 5명 중 1명 사망
12.07
[인천in] 외롭고, 슬프고, 눈물나는 '암흑의 재난'... 가습기 참사
State
현재 접속자
65(
4
) 명
오늘 방문자
154 명
어제 방문자
3,369 명
최대 방문자
7,488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