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가습기살균제 참사 14주년…시민사회·유족 "정부가 피해지원·진상규명 나서야"
관리자
0
49
08.28 16:25
가습기살균제 참사 14주년…시민사회·유족 "정부가 피해지원·진상규명 나서야"
뉴시스 2025.8.28
- 크게
피해자·유족 등 "기업과 정부 책임 기반한 배·보상 요원"
[서울=뉴시스] 이명동 기자, 이지 인턴기자 = '다시 되풀이되지 않아야 할 가습기살균제 참사'
'가습기살균제 참사 사망자 1921명'
'환경이 아프면 어린이가 아프다'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유족 등은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가습기살균제 참사 이재명 정부 해결촉구 및 태아·영유아·어린이 피해 추모위한 유품전시 기자회견을 개최하면서 이 같은 문구가 적힌 피켓과 현수막을 내걸었다.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이달 31일이면 세상에 알려진지 14년이 된다.
피해자와 유족 등은 "1994년 하반기부터 SK(당시 유공)이 가습기살균제 제품을 판매하기 시작했으니까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시작된 지는 올해로 31년째"라며 "그동안 7명의 대통령이 지나갔고 8번째 이재명 대통령을 맞고 있는 가습기살균제 참사"라고 지지부진한 문제해결에 답답한 마음을 드러냈다.
이어 "아직도 적지 않은 피해신고자가 구제조차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구제인정이 돼도 병원비 일부와 장례비 정도의 긴급구제성격의 지원에 그칠뿐"이라며 "기업과 정부의 책임에 기반한 배·보상은 요원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가습기살균제 참사 해결을 위해 ▲정부와 국회는 현재 추진 중인 피해지원조정이 이뤄지도록 할 것 ▲정부와 국회는 정부 부처 10여 곳의 잘못을 밝히는 청문회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대통령 담화문을 통해 공식화할 것 ▲정부와 국회는 흡입독성안전시험 의무화를 법제화할 것 등을 요구했다.
6개월 된 딸아이를 잃은 김홍섭씨는 편지로 "제 아이를 죽음에 이르게 한 정부와 기업에 말한다. 진실성 있게 사과하고 유족에게 무릎을 꿇고 사죄해야 한다"라며 "지금도 늦지 않았다. 하나도 숨김없이 철저한 진상규명이 있어야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끝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제대로 된 사과가 없이는 절대로 물러서지 않을 것이다. 죽을 때까지 끝까지 싸우겠다"고 다짐했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가습기살균제 참사로 희생당한 수많은 희생자가 있다. 1921명이라는 어마어마한 사망자 숫자에는 유산된 아이들 숫자는 포함도 되지 않은 것"이라며 "피해자는 진실한 사과와 위로를 받고 싶다고 말한다. 그래도 야속하지만 최소한의 금전적인 보상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야 하는가"라고 지적했다.
이날 현장에는 태아·영유아·어린이 등 피해 유품이 전시됐다. 신발, 인형, 줄넘기 등 늘어선 유품으로 희생자의 어린 연령대가 고스란히 드러났다. 민수연(57)씨는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던 기간 무려 다섯 번이나 유산을 했던 사실을 밝히며 울음을 터뜨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