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연합 "반복되는 지진, 원전과 핵폐기장
"반복되는 지진, 원전과 핵폐기장 위험하다."
10일 경북 포항 앞바다에서 규모 4.1의 지진이 발생하자, 환경운동연합 탈핵위원회는 이날 오후 성명을 통해 "원전과 핵폐기장 안전대책부터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낮 12시 53분 38초께 포항시 북구 동북동쪽 50㎞ 해역에서 규모 4.1의 지진이 났다. 이는 지난해 2월 11일 포항 북구 북서쪽 5㎞ 지역에서 규모4.6 지진이 발생한 지 1년만에 난 것이다.
이번 지진의 정확한 위치는 북위 36.16도, 동경 129.90도이고, 발생 깊이는 21㎞다. 또 이날 오후 2시 12분 38초 포항시 북구 동북동쪽 45㎞ 해역에서 규모 2.5 등 여진이 이어졌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이날 지진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이날 지진이 발생하자 한국수력원자력 등과 함께 긴급 현장 안전점검을 벌였다.
그러나 환경단체는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환경운동연합 탈핵위원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경북 일대는 양산단층 등을 비롯해 발견된 것만 60여개의 활성단층이 분포한 신생대 제3기, 4기 지층이다"며 "오늘 발생한 지진 역시 신생대 제3기 지층의 포항분지에 속해 있는 단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부산, 울산, 경주 울산지역 해안가에는 원전이 밀집해 있다. 원안위는 지난 2월 1일 신고리 4호기에 대해 운영 허가를 결정했고, 이는 이 일대의 20번째 가동이다.
울진에 한울원전 6기, 경주에 월성·신월성원전 6기, 부산·울산에 고리·신고리 원전 8기(폐쇄 원전 포함) 등 총 20개 원전이 분포해 있다. 또 중저준위 핵폐기장도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진은 육상과 해양을 가리지 않는다. 거의 매년 발생하고 있는 규모 4.0 이상의 지진은 경상남·북도 일대의 신생대 지층들의 단층 활동이 일상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단순히 양산단층만의 문제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문가들은 경주지진, 포항지진 등 이 일대에 이번과 같은 지진이 계속 발생하는 이유로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들고 있다"며 "이 지진이 발생한 후 한반도의 지각판에 작용하는 힘의 패턴이 바뀌면서 에너지가 계속 쌓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 힘이 특히, 한반도 동남부 일대로 집중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거의 매년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은 지진에너지가 제대로 방출되지 못했고 에너지가 계속 쌓여가고 있다는 의미다"며 "따라서 앞으로도 주기적으로, 그리고 더 큰 지진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가장 불안한 이 지층에 최근 20번째 원전인 신고리 4호기 운영이 허가되었고, 중저준위 핵폐기장이 땅 속 지하수 한 가운데에 있으며, 1만여 톤의 고준위 핵폐기물이 주거지 인근 땅 위에 임시로 불안하게 저장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진조사를 해야 할 과학기술부, 원전과 핵폐기장 운영을 책임지는 산업통상자원부, 이들 시설의 안전을 책임지는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지금처럼 뒷짐 지고 있어서는 안 되는 이유다"며 "원자력 관련 사고는 사고가 난 뒤에는 돌이킬 수 없이 늦어버렸다는 걸 우리는 계속 보아오고 있지 않은가"라고 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도 정부 당국은 탈원전 반대 정치공세에 굴복하여 원전 가동률을 높이겠다는 발언을 하고 여당 정치인은 원전을 더 짓자는 망발을 일삼고 있다"고 덧붙였다.
환경운동연합 탈핵위원회는 "사고로 방사능에 오염된다면, 전기 공급이 무슨 소용인가. 활성단층 인근 20개 원전의 제대로 된 최대지진평가를 육상과 해양의 활성단층을 포함해서 전면적으로 다시 해야 한다"며 "원전 가동은 안전을 확인한 이후에 해도 충분하다"고 강조했다.